공기가 건조한 겨울에는 안구건조증 증상이 악화된다
눈이 건조해지면서 이물감을 유발하는 '안구건조증'은 가장 흔한 눈 질환 중 하나다.
환자 수도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안구건조증 환자 수는
2010년 186만명에서 2016년 224만명으로 6년 새 약 21% 증가했다.
특히 날이 춥고 건조한 12월에 환자 수가 증가한다.
고대구로병원 안과 송종석 교수는 "과거에는 보통 중년 여성에서 많이 발병했으나,
최근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사람이 늘면서 남녀노소 구분 없이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 됐다"고 말했다.
눈은 항상 촉촉하게 젖어있어야 눈을 깜빡이고 움직일 때 불편함이 없다.
안구건조증이 발생하면 적정량의 눈물이 분비되지 않거나, 눈물층을 잘 유지하지 못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눈물은 크게 지방분, 수분, 점액 등 세 가지 주성분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한 가지 성분이라도 부족하면 눈이 쉽게 마른다.
눈물샘이 위축되거나, 지방을 분비하는 마이봄샘에 이상이 생기거나, 점액을 분비하는
결막술잔세포의 감소가 안구건조증의 주요 원인이다. 송종석 교수는 “눈이 따끔거리거나
통증이 느껴지고, 눈물이 쏟아지는 증세도 안구건조증 증상 중 하나”라고 말했다.
안구건조증을 방치하면 결막이 손상되면서 시력이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안질환과 증상이 유사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특히, 시력저하는 백내장과 녹내장 등에서도 나타나므로 정확한 검진이 필요하다.
안구건조증을 치료할 때는 보통 히알루론산 성분 등의 인공눈물을 사용한다.
염증이 동반된 경우 항염증치료가 필요하며 최근에는 안구표면에 점액성분 분비를 증가
시켜주는 안약도 출시돼 흔히 쓰인다.
생활환경 개선을 통해서도 안구건조증을 완화할 수 있다.
눈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켜 염증이 생기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습기 등을 사용하여 습도를 올려주거나 온풍기 등의 온열기구 사용을 자제하여 실내
온도를 낮추는 게 좋다. 장시간의 독서나 TV 시청, 게임 등 눈을 혹사시킬 수 있는 생활
습관은 증세를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는 5가지 생활수칙>
1. TV나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고, 중간에 휴식시간을 갖는다.
2. 안구가 건조하다고 느껴질 때는 인공눈물을 수시로 점안한다.
3. 겨울철 온풍기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고, 바람을 직접 쐬지 않는다.
4. 실내 온도를 1~2도 정도 낮추고 얇은 옷을 추가로 입는다.
5. 렌즈보다는 안경을 착용한다.
http://tinagift.kr
티나기프트
홍보용 판촉물, 기념품, 답례품, 사은품, 홍보물, 개업선물 홍보용품 주문제작
www.tinagift.kr
숙변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0) | 2020.09.14 |
---|---|
따뜻한 방에서도.. 손발이 시린 6가지 이유 (0) | 2020.09.14 |
뇌(腦)가 강해지는 비법 (0) | 2020.09.13 |
마음의 병 우울증 극복 10계명 (0) | 2020.09.12 |
옥수수 한 개가 모든 치통에 특효 (0) | 2020.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