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하심(下心)

티나는이야기

by 대공거사 2022. 9. 1. 22:41

본문

728x90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기에 마음을 낮추고 비우는 하심(下心)이

 

수행자로서는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마음은 보이는 물건이 아니기에. 담을 수 있는 그릇도 없는데

 

어떻게 낮추고 비우라는 것인가?

 

 

 

원효스님이 하심을 수행하실 때, 어느 시골 사찰을 찾아가서

 

신분을 말하지 않고 행자생활을 자처하여 3년간 공양간 일을 맡아 하겠다고 했다.

 

나무 짐을 지고, 밥 짓고, 청소하고, 빨래를 하고, 스님들이 시키는 대로

 

심부름을 열심히 하였다.

 

 

 

어느 날, 여러 스님들이 공부하는 곳을 기웃 거리다 보니 자신이 써 놓은

 

'금강 삼매경론'을 주지스님이 강의를 하고 있었다.

 

그 때, 학승이 닥아 와서 "네놈이 무었을 알겠다고 스님들 공부하시는데

 

기웃거리느냐? 썩 물러가 청소나 하거라."하는 것이었다.

 

 

 

"예, 알겠습니다."하며 고개를 숙이고 나오면서

 

속으로 저 '금강 삼매론'은 내가 쓴 것인데.......

 

그리고는 바로 내가 하심을 수행하기 위해 이곳에 온 것을 생각했다.

 

그 당시에는 정보통신이 발달하지 못해 원효가 곁에 있어도 누구인지 몰랐다.

 

 

 

3년간 수행을 마치고 주지스님께 3배를 드리고 저만치 일주문을 걸어 나오는데,

 

등 뒤에서 "원효야 잘 가거라."하시는 목소리가 들렸다.

 

원효는 깜짝 놀라 돌아서서 다시 삼배를 올리면서 그동안 자신의 하심(下心)수행을

 

도와주신 주지스님께 한없는 고마움을 느꼈다.

 

 

 

하심(下心)은, 욕심을 내지 않으며, 화 내지 않으며, 남을 비방하지 않고,

 

자기 자랑을 하지 않으며, 겸손하며, 모든 것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것이다.

 

인간이 자연과 생명에 대한 깊은 이해로 동체대비(同體大悲)의 마음을 낸다면

 

그것이 진정한 하심이 아닐까?

https://youtu.be/M71W-8HREu4

 

반응형

'티나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제자(佛弟子)와 육식(肉食)  (0) 2022.09.04
무비공(無鼻孔)  (2) 2022.09.01
마음이 지어내는 극락과 지옥  (1) 2022.08.28
신부님의강론  (0) 2022.08.28
원생보살(願生菩薩)  (0) 2022.08.2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