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목탁과 염주의 유래

카테고리 없음

by 대공거사 2024. 10. 3. 19:37

본문

728x90

 

목탁의 유래

  • 고래의 전설: 가장 널리 알려진 유래는 고래와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과거 한 스님의 제자가 게으름을 부리고 악행을 저지르다가 죽어 고래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고래의 몸에 나무가 자라 고통스러워하던 중 스승을 만나 회개하고, 스승은 고래의 몸에서 자란 나무를 잘라 목어(木魚)를 만들어 불경을 읽을 때 사용하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고래는 해탈을 얻고, 다른 고래들도 목어 소리를 듣고 함께 해탈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유교의 영향: 목탁은 불교뿐만 아니라 유교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유교에서는 목탁을 울려 사람들을 모으거나 주의를 환기시키는 데 사용했습니다.
  • 목어와의 관계: 목탁은 목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목어는 나무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도구로, 염불을 할 때 울려 불심을 일깨우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염주의 유래

  • 인도의 기원: 염주의 기원은 인도의 고대 우파니샤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힌두교에서 염주를 사용하던 것이 불교로 전해져 발전했습니다.
  • 108개의 의미: 염주는 보통 108개의 구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108가지 번뇌를 상징합니다. 염주를 넘기며 염불을 하면 번뇌를 벗어나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다양한 재료와 종류: 염주는 보리수나무 열매, 옥, 보석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길이와 구슬의 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목탁과 염주의 의미

  • 목탁: 염불 소리를 내어 정신을 집중시키고, 불심을 일깨우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불교 공동체를 하나로 모으는 역할도 합니다.
  • 염주: 염불을 할 때 수를 세고, 정신을 집중하는 도구입니다. 또한, 부처님과의 연결을 상징하며, 불교 신자들에게는 소중한 신앙의 상징물입니다.

결론적으로, 목탁과 염주는 불교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중요한 도구입니다. 각각의 유래와 의미를 이해하면 불교 문화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금강(金剛)정유(頂瑜) 가염주경(伽念珠經)에 보면, 염주의 종류를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습니다.
큰 것은, 1080 주. 중간은 108 주. 중소(中小)는 54 주. 소(小) 29 주나 14 주를 꿰여 사용해도 된다고 하셨으며,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108 주는 인간의 번뇌(煩惱)가 눈 귀 코 혀 몸 치아 육근(六根)과 색(色)성(聲) 향(香)미(味)촉(觸)법(法) 육진(六塵)이, 대상(對象)을 보고 느끼는 고통과 슬픔이 36종이 되며, 이것이 과거. 현재. 미래를 삼세(三世)라 하며 삼세를 합쳐 오는 번뇌가 108 번뇌라 하여 108 염주를 사용하나, 어떤 염주는 108 개 외에 두 개의 구슬을 더하여, 주불(主佛)이라 하여 위의 것은 석가모니불이라 하고, 아래 것은 지장 보살이라 하며, 또 어떤 것은 아미타불과 관세음 보살이라고 하는 염주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