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선재동자의 구법행

티나는이야기

by 대공거사 2022. 10. 23. 14:14

본문

728x90

1.구법행의 시작 : 문수

 

화엄경은 선재동자가 53선지식을 찾아다니며 법을 구하는 형식으로 전개됩니다. 이같은 선재동자의 구법행은 입법계품에서 시작됩니다. 입법계품의 첫머리에 보면 서다림에 모인 문수보살 등 5백 명의 보살들이 모두 보현행원을 성취하고 존재의 실상을 깨닫게 됩니다. 이를 지켜본 선재동자는 구도의 열정에 불타서 문수보살에게 다음과 같이 간청합니다.

 

"원컨데 저에게 해탈의 문을 열어 주시고

모든 뒤바뀐 헛된 꿈을 멀리 여의게 해주소서

(願開解脫門 遠離諸顚倒)"

 

구도의 열정에 불타는 선재동자의 이같은 결심을 확인한 문수보살은 다음과 같이 권유합니다.

 

"깨달음의 높은 뜻을 발하여(發菩提心)

선지식을 구하고(求善知識)

보현행원을 갖추어라(具足普賢行願)"

 

눈앞에서 5백명의 보살들이 보현행원을 성취하고 존재의 실상을 깨닫는 것을 확인한 선재동자는 선지식을 구하고 보현행원을 갖추라는 문수보살의 권유를 듣고 진리에 대한 확신으로 환희에 불타 오릅니다.

 

 

2.구법행의 끝 : 보현

 

문수보살의 권유를 받은 선재동자는 무상정각(無上正覺)을 이루기로 발심하고 확신에 찬 발걸음으로 선지식을 찾아 구법여행을 떠나게 됩니다. 선재동자는 53선지식을 찾아가 법을 묻고 배우는 구도의 여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마지막 차례에 보현보살을 만나게 됩니다. 여기서 보현보살은 선재동자에게 보현행원품을 설하고 선재동자의 기나긴 구법행의 최후를 장식하게 됩니다.

 

 

3. 이론에서 실천으로

 

선재동자의 구법행은 문수보살에서 시작합니다. 문수보살은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입니다. 즉 이론적 측면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문수에서 시작한 선재동자는 53선지식을 찾아 법을 묻고 마침내 실천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에게서 실천명제를 받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습니다. 이론에서 출발해서 끊임없이 체험을 통해 그 이론을 검증하고 심화시킨 뒤 마침내 궁극적 실천의 방향을 잡는 것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결국 불교는 하나의 이론체계가 아니라 실천과 행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성취해 가는 실천체계 또는 수행체계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인간은 구체적 실천을 통해서만 체득이 있습니다. 불법은 이론이나 관념적 사변이 아닙니다.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실천행동에 불법의 묘체가 있습니다. 불법이 아무리 위대하고 논리적 완결성이 뛰어나도 그 논리적 내용성을 현실화하고 자기화 하기 위해서는 실천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4. 53 선지식의 의미

 

선재동자가 53선지식을 만나 그들에게 법을 묻고 그들에게 가르침을 받는 것은 바로 보현행원을 통해 불가사의한 여래의 해탈법계로 들어가는 기나긴 여정입니다. 화엄경은 보현행원을 실천의 근간으로 삼고 있습니다. 화엄경의 보현행원은 화엄경이 밝힌 인간 해탈의 내용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형이상학적이거나 추상적인 깨달음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으로 성큼성큼 다가가는 깨달음의 길을 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것도 철저히 뭇 생명에 대한 대승적 자비에 입각한 실천을 통해서만이 성불할 수 있음을 설하고 있는 것입니다.

 

 

5. 차별적 실천과 통일적 강령

 

선재동자가 만난 53선지식의 가르침은 보현행원의 차별적 실천이자 구체적인 접근과정입니다. 이에 비해 선재동자가 마지막으로 보현보살을 만나 듣게되는 보현행원은 모든 선지식으로부터 받은 가르침을 한데 아우러는 통일적 실천명제인 것입니다.

 

 

6.행원이란?

 

행원(行願)이란 말 그대로 해석한다면 '행동에 대한 소원'입니다. 즉 나는 깨달음을 이루기 위해서 어떠하게 행동하겠다고 자신의 소원을 밝히는 것이 행원입니다. 보현행원품에서 말하는 행원은 행동과 소원이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통일된 상태입니다. 내가 어떻게 행동하겠다는 것이 동력인이라면 소원은 목적인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즉 행동이 구체적인 실천이자 방법이라면 소원은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행동은 서원에 의해 구체적인 실천행동으로 현실화됩니다. 선재동자도 보현보살을 만남으로써 궁극적인 이상인 깨달음의 서원을 구체적 행동으로 통일시키라는 행원을 배우게 됩니다.

https://youtu.be/PxwoaBqzecQ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