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부의 어려움과 쉬움

티나는이야기

by 대공거사 2023. 2. 25. 05:15

본문

728x90

1) 초심자의 어려움과 쉬움참선이라는 이 한 법은 본래 분별(分別, 이치를 따져서 논하는 일)할 수 없지만, 다만 공부해 가는 데 있어서 초심자는 초심자대로 어려움과 쉬움이 있고, 구참자는 구참자대로 어려움과 쉬움이 있습니다. 그러면 초심자가 어려운 것은 무엇이겠습니까.
초심자는 몸과 마음이 순숙(純熟)하지 않아 들어갈 길을 찾긴 해도 분명하지가 않습니다. 공부를 해도 향상되지 않고, 마음이 조급하지 않으면 그저 눈만 껌벅거리며 세월을 보냅니다. 결국 '첫해에는 처음이라 참구해 보는 것이고, 그 다음 해에는 벌써 오래 참구한 사람처럼 되며, 3년이 되면 아예 참구하지 않은' 결과가 되고 맙니다.

초심자가 쉬운 점은 무엇입니까? 오직 하나의 신심(信心)과, 장영심(長永心)과 무심(無心)만 갖추면 된다는 것입니다. 소위 신심이란 것은 첫째, 나의 마음이 본래 부처이며 시방 세계의 모든 중생과 더불어 다르지 않음을 믿는 것이요, 둘째,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설하신 모든 법이 생사를 요달(了達)하여 부처를 이루는 도임을 믿는 것입니다.
이른바 장영심(長永心)이란, 어떤 한 법을 선정해서 생을 마칠 때까지 수행하되 내생(來生)과 후내생(後來生)에 이르도록 오로지 이와 같이 지켜가는 것입니다. 참선하는 사람은 늘 이와 같이 참구해야 하고, 염불하는 사람도 늘 이와 같이 염(念)해야 하며, 주문을 지송(指呪)하는 사람도 이와 같이 지송(持誦)해야 하고, 교학(敎學)하는 사람도 늘 이와 같이 듣고 생각하고 닦아야 합니다. 어떠한 법문을 수행하더라도 계(戒)가 근본이 됩니다. 과연 이와같이 수행해 나가기만 한다면 이루지 못할 일이 없을 것입니다.

위산( 山) 스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만약 누구든지 능히 이 법을 수행하되 3생을 물러서지 않는다면 반드시 부처의 자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하셨고, 또 영가(永嘉) 스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만약 내가 허망한 말로 중생을 속인다면, 영원히 발설지옥에 떨어져 헤아릴 수 없는 겁을 보낼 것이다" 하셨습니다.
이른바 무심(無心)이란, 일체를 놓아버려 마치 죽은 사람 같아서, 종일토록 대중을 따라 움직이지만 다시는 조금의 분별이나 집착도 일으키지 아니 하여 한 사람의 무심도인(無心道人)이 되는 것입니다.

처음 발심한(初發心) 사람이 만약 이 세 가지 마음을 갖추고 참선하여 화두를 든다면, 바로 '염불하는 것은 누구인가?'하십시오. 그대 스스로 묵묵히 생각하다 몇 번 소리내어 아미타불을 부르고, 이 염불하는 것이 누구이며, 이 한 생각은 어디서 일어나는 것인지를 보십시오. 여러분은 알아야 합니다. 이 한 생각은 내 입에서 나온 것도 아니고 내 몸에서 일어난 것도 아니라는 것을. 만약 그것이 내 몸이나 입에서 일어난 것이라면, 내가 죽고 나서도 내 몸과 입이 여전히 존재하는데 왜 염불을 못합니까? 여러분은 알아야 합니다. 이 한 생각은 내 마음에서 일어난 것이니, 바로 그 마음에서 생각이 일어나는 곳을 포착하여 예리하게 살펴보되, 마치 고양이가 쥐를 잡으려고 할 때처럼 모든 정신을 여기에 집중하여 일체 딴 생각이 없어야 합니다. 다만 완급(緩急)을 적당하게 할 것이니, 너무 조급하게 해서 병이 나게 해서는 안 됩니다.

행주좌와 내내 이와 같이 하여 날이 가고 달이 가면 공부가 깊어집니다. 그러다가 외가 익어 꼭지가 떨어지듯, 시절인연이 도래하면 무엇에 부딪치거나 밀치는 순간에도 홀연히 대오(大悟)할 것입니다. 이 때에는 사람이 물을 마셔보고 그 차고 따뜻함을 스스로 아는 것과 같이 곧장 의심 없는 경지에 이르니, 마치 네거리에서 자기 아버지를 만난 듯이 큰 안락을 얻게 될 것입니다.

2) 구참자의 어려움과 쉬움

오래 참구한 이의 어렵고 쉬움이란 어떤 것입니까? 이른바 오래 참구한 사람은 선지식(善知識)을 가까이하였고, 공부한 지 여러 해가 되었으며, 한 차례 단련되었으므로 몸과 마음이 순숙(純熟)해져서 공부길이 분명하며, 마음먹은 대로 공부할 수 있으므로 고통을 느끼지 않습니다.
오래 참구한 사람의 어려움은, 자재(自在)하고 명백하므로 그 상태로 중간에서 머물러 있는 것입니다. 화성(化城)에서 멈추고 마니, 보배 있는 곳에 이르지 못하는 것입니다. 고요히 있을 때에는 공부를 잘 하다가도 움직이고 있을 때에는 잘 하지 못하며, 진실한 수용(受用, 닥쳐오는 경계를 받아들이는 것)을 하지 못합니다. 심지어 경계(境界)를 만나면 감정을 일으켜 취하거나 버리기 때문에 좋아하고 싫어함이 완연합니다. 거칠거나 미세한 망상(粗細妄想)이 여전히 굳게 자리잡고 있어서, 이제까지 해 온 공부가 마치 찬물이 바위를 만나 물거품을 일으키듯 하여 아무 작용도 일으키지 못합니다. 이런 식으로 오래 하다 보면 피로하고 게을러지며, 결국 아무런 결과도 얻지 못합니다.

오래 참구한 사람은 이러한 곤란을 알았으면 그 즉시 본참화두(本參話頭)를 들되, 정신을 바짝 차려서 백척간두(百尺竿頭)에서 다시 매진해 나아가야 합니다. 그리하여 곧장 높고 높은 봉우리에 서고, 깊고 깊은 바다 밑을 다니되(高高峯頂立 深深海底行) 손을 놓고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되면 부처님이나 조사와 서로 마주 볼 것이며, 곤란함 속에서도 안주하게 될 것이니, 이 또한 쉽지 않겠습니까.

화두란 바로 한마음(一心)입니다. 우리의 이 한 생각 마음(一念心)은 안팎이나 중간에 있지 않으면서, 또한 중간이나 안팎에도 있습니다. 그것은 허공과 같이 움직이지 않으면서 모든 곳에 두루합니다. 그러므로 화두를 위로 끌어올리지도 말고 밑으로 끌어내리지도 마십시오. 위로 끌어올리면 도거(掉擧)가 일어나고, 아래로 끌어내리면 혼침(昏沈)에 떨어져 본래의 심성(心性)을 어기므로 다 중도(中道)가 아닙니다.

여러분은 망상을 두려워하여 망상을 항복 받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여깁니다. 제가 여러분에게 말하지만 망상을 두려워하지 말고 망상에 힘을 허비하지도 마십시오. 망상을 항복 받기 위해서는 그것이 망상인 줄 알아차리기만 하면 됩니다. 그것에 집착하지도 말고 그것을 쫓아가지도 말며, 그것을 버리려고도 하지 마십시오. 오직 망상이 계속 이어지지만 않게 하면 망상은 자연히 없어집니다. 이른바 "망상이 일어나면 곧 망상인 줄 알 것이니, 망상인 줄 알면 그것은 곧 없어진다"고 하는 것입니다.

만약 망상을 이용하여 공부할 수 있게 되면, 이 망상이 어디서부터 일어나는가를 살펴보십시오. 망상은 자성이 없어 당체(當體)가 공하므로 바로 되돌리면 '나'가 본래 없는 마음의 성품인 자성청정법신불(自性淸淨法身佛)이 곧 바로 눈앞에 나타납니다.
진실로 말하면, 진여(眞如)와 망상(妄想)이 일체(一體)이고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며, 생사(生死)와 열반(涅槃), 보리(菩提)와 번뇌(煩惱)가 모두 본래 마음(本心)이요, 본래 성품이니, 분별할 필요가 없으며, 좋아하거나 싫어하고, 취하거나 버릴 필요도 없습니다. 이 마음은 청정하여 본래 부처이니 한 법도 필요치 않습니다. 어디에 허다한 방편이 있겠습니까. 참구하십시오.

 

반응형

'티나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구경-오늘  (0) 2023.03.08
재가불자의 신행방법  (0) 2023.02.26
화두 참선법  (0) 2023.02.24
참선의 선결 조건  (2) 2023.02.24
성공한 사람이 되려하지 말고 가치있는...  (0) 2023.02.24

관련글 더보기